본문 바로가기
국제경영

한국 기업의 국제 경영 현황과 변화

by 오유짱 2024. 2. 21.

이전 포스팅에서 국제 경영 활동을 하는 주체는 넓은 의미에서 국제 기업으로 볼 수 있다고 이야기했다. 
그러나 일반적인 의미의 국제 기업은 많은 정도의 국제 경영 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 다국적 기업이라고 불린다고 했는데 이번에는 한국 기업의 국제 경영 현황과 변화를 살펴보도록 한다.

크게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한 측면과 한국 기업의 다국적 기업화 측면에서 어떠한 국제 경영 현황과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무료 이미지 -픽사베이-

 

 

1. 한국 기업의 국제 경영 현황과 변화(1)

먼저, 한국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에 대해 알아본다. 

 

한국경제는 1960년대 경제 개발 추진 이후 고도의 성장을 이룩하였고 1980년대에는 국제적인 경기 호황과 맞물려 호황을 맞기도 했다. 1996년에는 1인당 국민 소득이 만 달러를 넘어섰고 선진국 클럽이라 하는 OECD에 가입함으로써 개발도상국을 넘어 선진국 문턱에 들어섰다. 
그러나 한국경제의 고도성장은 장시간의 노동력, 저임금으로 인한 양적 성장에 불과할 뿐 생산성 향상으로 인한 질적 성장은 달성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이렇게 양적 성장과 더불어 생산성이 향상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결국 노동과 자본의 투입량 감소가 경제 성장을 멈추게 했다. 1997년 후반 한국은 금융 위기가 닥치고 몇몇 알만한 재벌 기업들이 부도를 내고 이들 기업에 대출을 해준 은행 역시 부실화됨으로써 외환 위기를 맞게 되었다. 결국에는 한국 경제의 고도성장 배경은 저임금을 바탕으로 장시간의 노동을 통해 값싼 제품을 만들어 이를 수출해 온 수출 드라이브 정책의 결과였다고 볼 수 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초기에 한국 기업은 풍부한 노동력과 낮은 임금을 바탕으로 노동 집약적 산업인 신발, 섬유, 의류 등을 주요 수출품으로 외화 획득을 하였으며, 제3차 경제 개발 계획 이후로 중화학 공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여 TV, VCR 등이 주요 생산 품목이 되었고 1980년대부터는 자동차와 철강, DRAM과 같은 분야에서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보유하게 되었다. 지금은 우리가 알만한 많은 한국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기업들의 주요 수출 품목 변화를 살펴보면 노동 집약적 제품의 수출에서부터 점차 자본 집약적 제품, 기술 집약적인 제품으로 수출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어떠한 측면에서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졌는지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첫째, 비교우위의 변화를 들 수 있다. 
한국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임금이 낮고 자본재가 희귀했을 당시 노동 집약적인 산업이 주가 되었다. 그러나 점차 경제 개발이 향상되어 임금이 상승함에 따라 의류, 신발과 같은 단순노동 집약적인 산업이 경쟁력을 잃고 TV나 VCR과 같은 보다 자본 집약적인 산업이 경쟁력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1980년대에 들어서는 자본이 풍족해지고 임금 수준도 더욱 상승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섬유나 의류 등의 경공업 분야에서 한국보다 노동력이 훨씬 값싸고 풍부한 중국과 같은 국가에 비교우위를 상실하고 오히려 자동차나 철강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갖게 되었다. 이러한 비교우위를 바탕으로 자동차 산업의 경쟁자인 미국과 일본의 자동차 기업에 도전하고, 철강 분야에서도 가격 경쟁력을 높이는 등 글로벌 산업에서 경쟁력을 높여왔다. 
한편, 2000년대 들어서는 DRAM 분야와 정보통신 분야에서 일본과 미국을 제치는 것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기업들이 자본 집약적이면서 연구 개발 집약적인 산업으로 이동하기가 그리 쉽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한국 기업들이 급부상함에 따라 선진국 기업들은 한국 기업에 기술을 공여하는 것을 꺼리거나 견제하기 때문이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 기업의 주요 수출 품목이었던 섬유, 신발, 의류 등 경공업 산업들이 급속도로 경쟁력을 잃었고, TV 등 가전 산업과 철강 산업에서도 저임금 국가로부터 가격 경쟁을 받고 경쟁력을 상실하는 상황이고 또한 한국 기업의 주요 수출 품목인 메모리 분야에서조차 심각한 경쟁을 받는 상황이다. 
따라서 현재 상황에서 한국 기업들이 취할 수 있는 전략은 다음 두 가지가 있다. 
선진국 기업들의 견제를 물리치고 재빨리 첨단 산업으로 이전하는 상향 비교우위 확보의 전략이다. 이를 위해서는 연구 개발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 핵심역량 구축, 선진국 기업들과의 전략적 제휴나 합작투자를 통한 기술 이전과 같은 세부 전략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거기에 더해 선진국에 해외직접투자 형태로 연구개발센터를 설립하거나 해외 인수합병 또는 전략적 제휴를 통해 다국적 기업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점차 경쟁력을 잃고 있는 노동집약적인 산업에서 저임금 국가로부터의 도전을 넘어 경쟁력을 유지하는 전략인 하향 비교우위 확보 전략이 있다. 이런 산업에서 한국 기업이 추구할 수 있는 세부 전략으로는 제품 브랜드 강화, 품질 향상, 유통 시장 확보 등을 통해 저임금 국가로부터의 가격 경쟁을 극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부가가치가 높은 생산활동만 한국에 남기고 노동비의 비중이 높은 생산 활동은 저임금 국가로 이전함으로써 가격 경쟁력을 유지해야 한다. 이와 같은 노동집약적 산업에서 국제 경쟁력을 유지하는 방법은 궁극적으로 저임금 국가에 해외 직접 투자의 형태로 진출해서 다국적 기업화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한국 기업의 변화는 지식 기반 경쟁우위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최근 들어 기업 경쟁력의 원천으로 지식 기반 경영 자원이 대두되는 상황이다. 지식 기반 경영 자원이란 기술, 경영 노하우, 브랜드와 같이 무형적이면서 부가가치가 높은 자원을 의미한다. 이처럼 기업의 수익 원천이 노동과 자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에서 새로운 아이디어, 기술 등으로 변화함에 따라 기업은 물론 국가 경쟁력 또한 이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시기별로 2000년 이전 한국 기업의 경쟁우위는 값싼 노동력과 자본의 집중적인 투자로부터 비롯되었다면, 2000년대 들어서는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사업 기회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들 사업에 투자하려는 자본 시장 역시 크게 발전하고 있다. 그리고 아직은 크게 대두되지 못하고 있지만 로봇이나 인공지능 등의 첨단 산업에서도 조금씩 단계를 밟아가고자 하는 노력도 보인다. 

2. 한국 기업의 국제 경영 현황과 변화(2)

이번에는 한국 기업의 다국적 기업화 측면을 살펴본다. 

한국 기업들이 겪고 있는 여러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활발한 해외직접투자를 통하여 기업이 다국적 기업화할 필요가 있다. 노동집약적 산업 분야는 저개발국가에 직접 투자함으로써 저임금을 활용한 국제경쟁력을 갖출 필요가 있으며 첨단산업 분야의 경우에는 첨단기술을 획득하기 위해 선진국에 직접 투자함으로써 다국적 기업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이러한 한국 기업의 다국적 기업화가 자칫 산업공동화로 이어지는 것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 산업 공동화란 한국 기업이 해외직접투자를 함에 따라 국내 생산이 감소하고 그로 인한 국내 고용 역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하는데 한국 정부도 이러한 공동화 현상을 우려해 한국 기업이 해외 진출 시 자기자본비율을 일정 수준 이상 높게 유지하게 함으로써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을 억제하는 정책을 취하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적인 측면에서 볼 때 한국 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와 국가 경쟁력 확대를 위해서는 한국 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따른 다국적 기업화는 전략적으로 필요한 수단이다. 또한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이 오히려 외국 기업의 국내 진출을 유발함으로써 산업 현대화와 고용 창출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한국 정부도 한국 기업의 해외 진출은 물로 외국 기업의 국내 진출을 도모하기 위해 규제 완화와 사회 간접 자본 투자에 적극적일 필요가 있다.